2000만원 이하 임대소득자 건강보험료 피부양자 자격조건
그럼 과연 가정주부는 피부양자가 되려면 임대소득이 얼마까지인가?
1. 임대사업자가 아닌경우 (사업자가 아닌 경우)
예) 다른 소득이 없고 임대소득 1400만원 인 경우
1400만원 - 700만원 (필요경비 50%) - 200만원 (기본공제) = 500만원
즉, 임대소득이 1400만원 이하인 경우 건강보험료 피부양자 박탈되지 않는다.
(단, 아래 피부양자 법적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.)
2. 임대사업자의 경우 (사업자인 경우)
예) 다른 소득 없고 임대사업자 소득 1000만원 인 경우
1000만원 - 600 (필요경비 60%) - 400만원 (기본공제) = 0원
즉, 다른 소득이 없는 임대사업자가 임대소득이 1000만원 이하인 경우 건강보험료 피부양자를 유지할 수 있다.
(단, 아래 피부양자 법적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.)
피부양자 법적 조건
'금융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키움증권 미국 주식 거래 오후 5시에 가능한가요? (프리마켓 (Pre-Market) 거래) (0) | 2025.04.10 |
---|---|
노령연금 수급자격,소득인정액, 재산 소득환산액, 금융재산,조건,계산 (0) | 2020.06.23 |
2020년 노령연금 수급자격,재산,금액,나이,소득,신청방법 (0) | 2020.01.21 |
주택임대소득자(임대사업자)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(0) | 2020.01.15 |
건강보험료 피부양자 자격요건 (임대수익2천만원 이하인 주부) (0) | 2019.12.17 |